|  | | |
창조경제의 핵심 정책이었던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최순실 사태로 동력을 잃어 가고 있는 가운데 포스코가 광양지역에 개소한 창조경제혁신센터에 대한 관심도 커져가고 있다. 내년도 창조경제혁신센터 정부 예산이 일부 삭감과 함께 해당 자치단체들도 예산 삭감을 검토하고 있으며, 실질적 운영에 참여하고 있는 대기업들도 사업 축소 및 존폐 여부를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때문에 광양지역의 창조경제혁신센터도 불똥이 튈지 우려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광양창조경제혁신센터는 에너지와 환경, 소재분야 창조경제거점으로서 지역 내 일자리 창출이라는 목표로 지난해 8월 개소했다. 센터에서는 예비창업자나 창업 3년 이하인 신생기업을 대상으로 벤처창업을 지원하며, 현재 6개 벤처기업을 보육하고 있다. 또한 우수한 산업인재들이 지역에서 일할 수 있도록 도움으로써 인력의 외부 유출 방지, 기술개발·품질개선 등에 애로사항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자문, 컨설팅, 시험분석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특히 광양창조경제센터는 전국의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와는 다른 전국최초의 민간 자율형 창조경제혁신센터로 운영되고 있어 자체적인 예산 확보와 운영 자율화가 가능한 상황이다. 때문에 정부나 지자체의 예산 지원 없이 운영되면서 이번 사태에도 불구하고 내년도 사업을 정상적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며, 기업의 갑작스러운 방향 선회만 없다면,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보여 지고 있고 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여론 흐름과 내년 차기 회장 선출에 따라 센터의 유지나 조정 등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포스코 관계자는 “내년도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예산 변동 없이 정상적으로 운영될 계획이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권오준 회장이 연임의사를 공식화하면서 내년 1월 쯤 연임 여부가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예상되며, 3월 주총에서 최종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한편 미래창조과학부는 최근 이 같은 사태와 관련해 차은택 씨는 융합벨트를 담당하는 문화창조융합본부장 겸 창조경제추진단장으로서, 혁신센터를 담당하는 추진단장과 그 업무범위, 역할과 책임의 영역이 상이하며, 창조경제 분야 및 혁신센터는 담당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이어 창조경제 정책 전반에 대한 그간 언론·국회 등의 지적과 조언 등을 고려하고, 혁신센터 등 창조경제플랫폼 전반에 대한 점검을 통해 창조경제 정책의 개선 및 미래전략을 내년도 업무계획에 담아 지속가능한 스타트업 생태계 구축에 계속 노력해 나갈 것임을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