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중마동 이순신대교 일원 야경 |
최근 광양시 인구가 15만5000명을 넘어서면서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인근 지자체인 여수·순천시의 인구는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광양의 인구정책이 효과를 보고 있다.
하지만 단순히 인구증가 수치만 늘리려다 보니 일시적 효과일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어 장기적인 대책마련이 수반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말 기준 광양시 인구는 15만5580명으로 역대 최대 규모다. 반면 여수시의 인구는 지난달 말 기준 28만8988명으로 집계됐으며, 최대 34만명에 육박했던 인구가 결국 29만명선까지 무너져 버렸다.
여수시의 경우 3개 시·군 도농도시 통합 후 2006년 29만7489명으로 30만명선이 처음으로 무너진 뒤 해마다 29만명선을 오락가락했다. 순천시도 정원박람회 유치 추진 등 호재에 힘입어 2011년부터 연평균 1600여명이 증가했으나 2016년 말 27만8548명으로 소폭 감소, 5년 만에 감소세로 돌아서며 적신호가 들어왔다. 두 지자체와 광양시의 인구증가를 두고 여론에서는 최근 문을 연 LF스퀘어 입점을 위한 전출과 시의 적극적인 인구 정책의 복합적인 성과라고 분석하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저출산·고령화로 인구가 감소하는 도시가 대부분이지만, 일부 지자체들은 미래 인구를 터무니없이 부풀리고 이를 근거로 대규모 개발 사업을 곳곳에서 벌이고 있다. 이런 지자체의 부풀리기 인구예상 탓에 주택과 공공시설이 과잉 공급되고, 예산 낭비가 되풀이된다는 지적도 끊이지 않는다.
더구나 광양시의 이번 인구증가에 대해서는 가타부타 말 들이 많은 상황. 모 공무원은 “시청 직원이 아닌 타 기관 공무원들도 전입 권고나 유도하라는 지침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시청 공무원들보다 압박감은 덜 하다”며 “시청 공무원들은 인구유입과 관련해 할당제도 있고, 인사에도 반영되기 때문에 그 스트레스와 압박감이 많다”고 고충을 털어놨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위장전입은 물론, 일시적으로 전입했다가 다시 전출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이에 시관계자는 “동부권에서 유일하게 인구가 증가하고 15만5000명이 넘어섰다는 것은 상당히 고무적인 일이다”며 “위장전입 등 실질적으로 시에 도움에 되지 않는 경우나 일시적인 사례가 발견되는 경우에는 그에 따른 조치를 취하겠지만, 분명 LF스퀘어나 이외의 정주여건의 개선에 힘입어 인구가 증가한 것은 분명하다”고 설명했다. |